본문 바로가기
Curiosity

[왜 이런 현상이 나타날까?] 오늘 돌아오는 8년만의 최대규모 부분일식

by Self Leader 2020. 6. 21.

[왜 이런 현상이 나타날까?] 오늘 돌아오는 8년 만의 최대 규모 부분일식 

2020년 06월 21일 pm 13:17

오늘 인터넷을 키고 오늘 어떤 소식들이 있는지 둘러보던 중 단연 돋보이는 기사가 눈에 띄었다.

 

부분일식

 

'부분일식'

8년 만에 돌아온 최대 규모의 부분일식이라는 것이다. 

난 일식이든, 월식이든 뭐든 솔직히 별 관심 없다. 그런 채로 부분일식 관련 기사들을 보던 중 갑자기 고등학생 때 지구과학을 배우고 맨날 노트에 태양이랑 지구 그려놓고 원 그리면서 내행성, 외행성 등 잘 기억은 나지 않지만 열심히 공부했고 과거 NASA가 꿈이었을 때를 회상하면서 부분일식이 일어나는 이유가 무엇인지 궁금해지기 시작했다.

그래서 부분일식이란 현상이 왜 일어나는지 함께 알아보자!! 

 

부분일식을 알아보기 전에 일단 일식이 무엇인지 먼저 알아보도록 하자.

 

일식이란?

일日식食 (태양을 먹는다)

말 그대로 일식은 태양이 먹힌, 태양이 달에게 먹힌, 우리관측자 입장에서 태양이 달에가려진 상태를 의미한다.

 

그렇다면 부분일식이란?

말그대로 부분만 달에게 태양이 가려졌다는 말이다.

 

 

http://sos.kasi.re.kr/korean/solar_eclipse/principle.php

 

위 참고 자료에서 C와 같이 우리가 관측하는 곳에서 태양이 달의 자전과 공전 원리에 따라 태양이 아예 가려서 보일 수도, 태양이 부분적으로만 가려져서 보일수도 있는 것이다.

 

 

달의 자전과 공전

 

추가로 금환일식이라는 것도 있다. 이는 무엇일까?

 

금환일식이란?

금환일식이란, 지구에서 달까지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멀고, 태양까지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가까울 때 태양이 달보다 더 크게 보이는 조건에서 일식이 일어날 때, 달이 태양을 다 가리지 못하고 겉 테두리만 보이는 현상을 금환일식이라 하고

여기서 금환은 이 현상이 금가락지 모양 닮았다 해서 금환이다.

[금환 (金環) 다른 뜻(2건)[명사] 1. 금으로 만든 고리. 2. [같은 말] 금반지(금으로 만든 반지).]

 

 

금환일식

 

 

자, 그럼 2020년 6월 21일(일) 몇 시에 부분일식이 관측될까?

한국 천문연구원에 따르면 대한민국에서 부분일식은 오후 3시 53분부터 오후 6시 4분에 끝난 다고 한다.

하지만 대한민국에서도 각자의 땅의 위치가 다르니 자신이 있는 곳의 부분일식 시간을 확인 후 관측하면 좋을 것 같다.

 

 

6월 21일 부분일식 - 한국천문연구원

 

 또 우리나라에서는 부분일식으로 관측되지만, 동유럽, 아프리카 동부, 아시아 일부 지역은 금환일식으로 관측이 된다.

이는 아까 말했던 관측지점의 차이라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8년 만에 규모가 가장 크고, 다음엔 10년이 지난 후에나 볼 수 있는 부분 일식이라고 하니 심심할 때 한 번쯤 보는 것도 나쁘지 않을 것 같다. 

만약 부분일식을 보게 된다면, 태양을 직접적으로 보는 것이니 망원경, 카메라 등을 사용 한때는 태양 필터가 장착된 것으로 사용하기 바라며 꼭, 보호장비를 착용하기 바란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