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15

도서관은 저작권법에 위배되지 않을까?(위배되는 사례) 도서관은 저작권법에 위배되지 않을까?(위배되는 사례) 나는 책을 주로 사서 읽지만 가끔 돈이 없거나, 도서관을 가게 되는 일이 있으면 종종 책을 빌리곤 한다. 그러던 중 나는 한 가지 궁금증이 들었다. 왜 도서관은 책을 무료로 사람들에게 보여주는데 음악, 영화 등과 다르게 국가에서 나서서 책을 빌려주는 것인지 궁금했다. (요즘 유튜브나 각종 개인방송에서 멜론으로 음악 트는 것도 저작권법에 걸린다고 한다.) 자료를 찾아보니 제1조(목적) 이 법은 국민의 정보 접근권과 알 권리를 보장하는 도서관의 사회적 책임과 그 역할 수행에 필요한 사항을 규정하여, 도서관의 육성과 서비스를 활성화함으로써 사회 전반에 대한 자료의 효율적인 제공과 유통, 정보접근 및 이용의 격차 해소, 평생교육의 증진 등 국가 및 사회의 문.. 2021. 7. 7.
사피엔스_유발 하라리 -2 사피엔스_유발 하라리 -2 2021.07.03 pm 5:33 1. 중국인, 인도인, 무슬림, 스페인인의 문화는 서로 크게 다르며 의견을 같이하는 부분이 적은데도 다들 금에 대한 믿음을 공유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경제학자들은 이렇게 말한다. 수요와 공급때문인데. 예를 들어보자면, 인도와 지중해 지역 사이에 정기적인 무역이 시작되었다. 인도는 금에 관심이 없어서 거의 가치를 부여하지 않았다. 하지만 지중해에서는 금이 선망하는 신분의 상징이어서 가치가 높았다. 다음에 어떤일이 일어났을까? 인도와 지중해 사이를 여행하는 상인은 금의 가치 차이에 주목했다. 그래서 인도에서 금을 싸게 사서 지중해에서 비싸게 팔아 이윤을 남겼을 것이다. 그 결과 인도에서 금의 수요와 그 가치는 급상승 하게 된다. 동시에 지중해에서는.. 2021. 7. 4.
사피엔스_유발 하라리 -1 (p.18~232) 사피엔스_유발 하라리 -1(p.18~232) 2021.07.03 pm 5:33 1. 인간은 너무나 빨리 정점에 올랐기 때문에 생태계가 그게 맞춰 적응할 시간이 없었다 (인간은 사자나 하이에나보다 낮은 중간계층에서 급격하게 최상위층으로 올라가게 되었다.) 그래서 최근까지도 패배자로 지낸 인간은 자신의 지위에 대한 공포와 걱정으로 가득 차 있고 그 때문에 두 배로 잔인하고 위험하다. (치명적인 전쟁, 생태계 파괴) 2. 네안데르탈인이나 데니소바인은 왜 남아있지 않을까? - 사피엔스는 기술과 사회적 기술이 우수하기 때문에 사냥과 채취에 더 능숙함, 이에 반해 네안데르탈인이나 데니소바인 들을 먹고살기 힘들어 죽어감 - 폭력과 대량학살(지금도 인종, 성별 등의 차이로 다른 집단을 몰살하는데 그 당시는 어땠을까?).. 2021. 7. 2.
다시, 책으로 _ 메리언 울프 다시, 책으로_메리언 울프 2021.06.28(월) 10:34 pm 이 책은 HRA겨울캠프를 하면서 읽기로 했던 책인데 당시에 읽지 못하고 HRA활동이 끝나고 나서, 읽게 되었다. 단순한 책을 읽는 방법론에 대한 책인 줄 알았는데 뇌과학적인 분석으로 우리에게 아날로그적 '책'을 읽는 행위인 독서라는 것에 대한 분석과, 디지털 매체가 활보하는 현대문명에서 저자는 어떠한 관점을 가지고 있는지를 알 수 있었다. 대한민국의 평균 독서량은 약 1년에 7권 정도라고 하고, OECD국가중 하위권이라고 한다. 하지만 이 수치도 너무 높다고 생각한다. 왜냐하면 내가 작년 가지만 해도 22년 동안 단 5권도 읽지 않았고, 내 주변 친구들도 거의 읽지 않았다. 이렇게 수치가 나온 이유가 안읽는 사람이 많지만, 읽는 사람은 .. 2021. 6. 28.